-
항암 치료 중에 처방 받는 백혈구 촉진 주사 -듀라스틴 주사액암 관련 정보 2024. 11. 12. 20:02
항암 치료를 받다 보면 많이 처방받는 주사약이 있습니다. 바로 백혈구 촉진 주사! 면역력 강화를 위해 중요한 주사로, 뉴라스타, 그라신, 듀라스틴 등 다양한 브랜드들이 있어요. 저는 주로 듀라스틴 프리필드 시린지 처방을 받고 있습니다.
처방받은 듀라스틴 주사액
듀라스틴 프리필드 시린지(Durastin Pre-filled Syringe)는 G-CSF(Granulocyte Colony-Stimulating Factor,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) 제제 중 하나로, 화학 요법(항암 치료) 후 발생할 수 있는 호중구 감소증(Neutropenia)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. 주성분은 **필그라스팀(Filgrastim)**으로, 이는 인체의 자연적인 G-CSF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호중구 생성을 촉진합니다.
👉듀라스틴의 주요 기능
1.호중구 생성 촉진: 필그라스팀은 골수에서 호중구 생성을 자극하여, 백혈구 수치 특히 호중구 수치를 빠르게 회복시킵니다.
2.감염 위험 감소: 호중구 감소증이 발생하면 면역력이 떨어져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. 듀라스틴은 이를 예방하여 감염의 빈도를 줄여줍니다.
3.화학 요법 유지 가능: 호중구 감소증이 심할 경우, 항암제 용량을 줄이거나 치료를 중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 듀라스틴은 이런 상황을 예방해 항암 치료를 계획대로 진행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👉투여 방법
•피하 주사로 투여하며, 일반적으로 화학 요법 종료 후 24~72시간 이내에 투여합니다.
•1일 1회 투여하며, 환자의 체중과 상태에 따라 용량이 결정됩니다.
•보통 호중구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될 때까지 투여하지만, 기간은 치료 계획에 따라 다릅니다.
👉효과 발생 시점
•주사 후 1~2일 내에 호중구 수치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며, 3~5일 후에는 호중구 수치가 정상 범위로 회복되기 시작합니다.
👉부작용
1.뼈나 관절 통증: 골수에서 호중구가 급격히 생성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필요시 진통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. (골통증)
2.발열 및 피로: 면역 체계의 활성화로 인해 열이 날 수 있습니다.
3.주사 부위 통증: 주사 부위가 붉어지거나 아플 수 있습니다.
4.근육통, 오심, 설사, 두통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.
👉주의사항
•고열이 동반되거나 감염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진과 상담해야 합니다.
•신장이나 간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—————————-
백혈구 촉진 주사(일반적으로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, G-CSF라고 불림)는 백혈구, 특히 호중구의 생성을 자극하여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 이 주사는 암 치료(특히 화학 요법) 후에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, 백혈구 수치가 낮은 환자에게 주로 사용됩니다.
효과:
1.백혈구 수 증가: 주사는 백혈구, 특히 감염과 싸우는 호중구의 생성을 촉진하여 면역력을 강화합니다.
2.감염 위험 감소: 백혈구 수가 정상 범위로 회복되면서 감염의 위험이 줄어듭니다.
효과 발생 시점:
•주사를 맞은 후 1~2일 내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.
•백혈구 수가 증가하는 데는 3~7일 정도가 걸릴 수 있으며, 개인의 상태나 치료 과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백혈구 촉진 주사는 G-CSF 제제로, 다양한 브랜드와 제형이 있습니다. 듀라스틴(Durastin) 외에도 다음과 같은 약물들이 사용됩니다.
1. 뉴라스타 (Neulasta)
•성분: 페그필그라스팀 (Pegfilgrastim)
•특징: 필그라스팀에 PEG(폴리에틸렌 글리콜)를 결합시킨 제제. 체내에서 지속 시간이 길어, 1회 주사로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음.
•사용: 일반적으로 화학 요법 후 1회 투여하며, 추가 주사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음.
2. 뉴포젠 (Neupogen)
•성분: 필그라스팀 (Filgrastim)
•특징: G-CSF의 가장 오래된 제제 중 하나로, 호중구 생성 촉진에 효과적임.
•사용: 보통 1일 1회 투여하며, 호중구 수치에 따라 며칠 동안 지속적으로 주사함.
3. 램시마 주사 (Leucostim)
•성분: 필그라스팀 바이오시밀러
•특징: 뉴포젠의 바이오시밀러로, 비슷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이며 가격이 더 저렴한 경우가 많음.
•사용: 뉴포젠과 동일하게 피하 주사로 투여하며, 치료 계획에 따라 투여 빈도와 기간이 결정됨.
4. 그라신 (Grasin)
•성분: 필그라스팀
•특징: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G-CSF 제제 중 하나.
•사용: 호중구 감소증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며, 피하 주사로 투여함.
5. 페그라필 (Pegrafil)
•성분: 페그필그라스팀
•특징: 뉴라스타와 비슷한 성분으로, 장시간 작용하여 1회 주사로 충분한 경우가 많음.
•사용: 일반적으로 화학 요법 종료 후 1회 투여함
6. 라스틸라 (Rasitril)
•성분: 페그필그라스팀 바이오시밀러
•특징: 페그필그라스팀의 바이오시밀러로, 뉴라스타와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.
•사용: 1회 주사로 효과가 나타나며, 추가 주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.
이 약물들은 환자의 상태, 화학 요법의 강도, 치료 계획에 따라 선택됩니다.'암 관련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면역 시스템의 수호자 백혈구와 호중구 : 수치 관리 음식과 생활 습관 (2) 2024.11.21 항암제의 세대별 발전과 대표적인 약물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(0) 2024.11.19 암 환자의 일반적인 심리 반응 단계와 보호자 대처법 (2) 2024.11.18 tvN <벌거벗은 세계사> 165회 : 인류가 정복하고 싶은 난치병, 암의 역사 (4) 2024.11.17 항암 치료 중에 필요한 식습관과 운동, 생활습관 (2) 2024.11.11